전국향토문화유적 188 페이지 > clubrichtour
eng.clubrichtour
eng
Tourist Attractions
Cultural Facilities
Festivals/Events/Performances
Leisure/Sports
Accommodation
Shopping
Dining
Transportation
메인
Cultural Facilities
Festivals/Events/Performances
Leisure/Sports
Accommodation
Shopping
Dining
Transportation
0
전국향토문화유적표준데이터
지역
시/도
강원도
경기도
경상남도
경상북도
광주광역시
대구광역시
대전광역시
부산광역시
서울특별시
세종특별자치시
울산광역시
인천광역시
전라남도
전라북도
제주특별자치도
충청남도
충청북도
시/군/구
키워드
통합검색
번호
제목
1865
제주특별자치도 > 제주시
조천리 황씨종손가옥
제주도 기와집의 특징은 바람세기 때문에 기와가 특히 크며 처마끝과 용마루 주변에는 회땜질을 해서 특이한 경관을 형성했다. 지붕의 물매는 초가집처럼 뜨며 안허리를 두거나 추녀를 치켜들지 않는다. 초가집에 비교하면 지분이 무거워서 부재가 굵고 단단한 나무를 사용하며 고급스럽게 치장하지만 평면의 간살이는 별로 다르지 않다.
618
2022.06.13
1864
제주특별자치도 > 제주시
김석윤가옥
제주도의 민가 가운데 기와집은 매우 드믈다. 관리들의 주거지인 묵은성과 연육포구인 화북.신촌. 조천에 몇 채가 산재했을 정도였다. 1904년 건축하여 3대째 내려오는 이 집은 제주 민가의 발전형식 중 대표적인 예라 볼수 있다. 먼문간과 안거리만 기와집이고 밖거리와 모커리는 초가로 마당을 중심으로 ㄷ자형 별동으로 배치시킴으로써 제주의 전통 주거형식의 바탕에다 한본토의 상류주택이 지닌 남성공간인 사랑채의 기능을 접합된 형식을 보여준다. 특히 매우 무겁고 거친 원형 제주기와 몰팡돌. 넓은 눌왓(가리의 터). 우영팟(터앝)과 사랑채 우영에 사군자인 국화. 대나무. 매화로 조경한 전용정서 공간이 마련된 것이 또 다른 특징이다.
593
2022.06.13
1863
제주특별자치도 > 서귀포시
송종선가옥
제주도 민가의 일반적 형태인 초가집은 제주도의 자연환경과 가족구성 및 생활 양식을 반영하는 건축물이다. 외벽은 제주산 현무암을 쌓아 두르고. 지붕은 띠를 덮어서 직경 5cm가량의 굵은 동아줄로 바둑판처럼 얽어 놓은 점이 특이하다.
592
2022.06.13
1862
제주특별자치도 > 서귀포시
양금석가옥
제주도 민가의 일반적 형태인 초가집은 제주도의 자연환경과 가족구성 및 생활 양식을 반영하는 건축물이다. 외벽은 제주산 현무암을 쌓아 두르고. 지붕은 띠를 덮어서 직경 5cm가량의 굵은 동아줄로 바둑판처럼 얽어 놓은 점이 특이하다.
694
2022.06.13
1861
제주특별자치도 > 제주시
조군현가옥
제주도 민가의 일반적 형태인 초가집은 제주도의 자연환경과 가족구성 및 생활 양식을 반영하는 건축물이다. 외벽은 제주산 현무암을 쌓아 두르고. 지붕은 띠를 덮어서 직경 5cm가량의 굵은 동아줄로 바둑판처럼 얽어 놓은 점이 특이하다.
714
2022.06.13
1860
제주특별자치도 > 제주시
오광준가옥
제주도 민가의 일반적 형태인 초가집은 제주도의 자연환경과 가족구성 및 생활 양식을 반영하는 건축물이다.
586
2022.06.13
1859
제주특별자치도 > 제주시
문형행가옥
제주도 민가의 일반적 형태인 초가집은 제주도의 자연환경과 가족구성 및 생활 양식을 반영하는 건축물이다. 외벽은 제주산 현무암을 쌓아 두르고 . 지붕은 띠를 덮어서 직경 50m가량의 굵은 동아줄로 바둑판처럼 얽어 놓은 점이 특이하다.
554
2022.06.13
1858
제주특별자치도 > 제주시
삼양동초가
이 초가는 서북쪽의 낮은 구름을 뒤에 두고 원당봉을 바라보면서 주변보다 낮은 곳에 자리한 제주초가의 전현으로 볼 수 있다. 밖거리 앞으로 곧고 긴 올레 양쪽에 우영팟(텃앝)이 있으며 마당을 중심으로 안거리와 밖거리가 마주해 있고 올레의 맞은 편에 눌왓(가리의 터)이 있는 二자형배치이다.
637
2022.06.13
1857
충청북도 > 청주시
강화최씨 열녀각
1676년 겅주이씨 이선소의 처 강화최씨의 정절를 기리기 위해 세운 정려각
599
2020.12.22
1856
충청북도 > 청주시
인지정
인지계에서 미호천 변에 세운 정자임
604
2020.12.22
1855
충청북도 > 청주시
청풍김문 영모단
청풍김씨가 탑연리에 세거한 사실을 증명하는 자료임
592
2020.12.22
1854
충청북도 > 청주시
강내 청풍김문 쌍효정문
청풍김씨 김인, 김제 형제의 효행을 기리기 위해 세운 정려각
597
2020.12.22
1853
충청북도 > 청주시
김봉로 효자각
1758년 청풍김씨 김봉로의 효행을 기리기 위해 세운 정려각
611
2020.12.22
1852
충청북도 > 청주시
충정사
임진왜란때 선조를 의주까지 호종한 호성공신 박숭원의 영정을 봉안하기 위해 세운 사당
663
2020.12.22
1851
충청북도 > 청주시
김을생 효자각
1700년 경주김씨 김을생의 효행을 기리기 위해 세운 정려각
604
2020.12.22
초기화
날짜순
조회순
정렬
검색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Search
검색대상
제목
내용
제목+내용
회원아이디
회원아이디(코)
글쓴이
글쓴이(코)
또는
그리고
검색어
필수
검색
닫기
Category
추천여행코스
전국캠핑장정보
전국명소갤러리
전국둘레길
한국민속신앙사전
전국지역특화거리
전국시티투어정보
전국문화축제
전국도시공원정보
전국농어촌체험휴양마을
전국박물관미술관정보
전국향토문화유적
전국공연행사정보
전국휴양림
전국길관광정보
전국가로수길정보
전국전통시장
전국관광지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