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향토문화유적 281 페이지 > clubrichtour
eng.clubrichtour
eng
Tourist Attractions
Cultural Facilities
Festivals/Events/Performances
Leisure/Sports
Accommodation
Shopping
Dining
Transportation
메인
Cultural Facilities
Festivals/Events/Performances
Leisure/Sports
Accommodation
Shopping
Dining
Transportation
0
전국향토문화유적표준데이터
지역
시/도
강원도
경기도
경상남도
경상북도
광주광역시
대구광역시
대전광역시
부산광역시
서울특별시
세종특별자치시
울산광역시
인천광역시
전라남도
전라북도
제주특별자치도
충청남도
충청북도
시/군/구
키워드
통합검색
번호
제목
470
경기도 > 광주시
이택재
조선후기 실학자 안정복 선생이 후학을 양성하며 강학하던 일종의 제당
890
2021.10.05
469
경기도 > 광주시
이극증 묘역 내 석물
이극증 묘역 내 석물
832
2021.10.05
468
경기도 > 광주시
광산김씨 직제학공파 김약시/김췌 묘역 내 모표 및 문인석
광산김씨 직제학공파 김약시/김췌 묘역 내 모표 및 문인석
888
2021.10.05
467
경상북도 > 포항시
현내리 신라아찬유공 유허비
현내리 신라아찬유공유허비는 조선 정조 19년(1795)에 경주부윤 유한모가 시조가 살던 옛터를 찾아 비를 세우고 비각을 건립하였다고 한다. 이 비는 기계유씨 시조가 거주하던 세거지이며 관형지인 기계면에 건립되어 중요한 역사적 사실을 알려주는 문화유적이다.
838
2021.06.09
466
경상북도 > 포항시
원리 정몽주 유허비
원리 정몽주 유허비는 고려시대 충신 포은 정몽주 선생의 충절을 기리고자 이 지방 유생들이 건립하였다. 이 유허비는 원래 오천읍 구정리에 오천서원과 함께 있었으나 서원이 오천읍 원리로 이건하였고 이후 유허비도 현재 위치로 이건하였다.
851
2021.06.09
465
경상북도 > 포항시
미현리 부운재
미현리 부운재는 기계유씨의 시조인 신라 아찬 유삼재공의 영묘를 수호하기 위해 세운 재궁으로 1710년(숙종 37년)에 부운암 16칸을 건립하면서 비롯되었으며 1920년에 정사 12칸과 낭무 18칸의 목조와가 3동을 개건하여 부운재라 개칭하였다. 그 후 1944년과 1959년 1979년에 각각 증개축과 중수가 이루어졌으며 1985년에 는 대대적으로 개축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
868
2021.06.09
464
경상북도 > 포항시
화진리 구진마을 앉은 줄다리기
화진리 구진마을 앉은 줄다리기는 음력 정월 대보름 오전에 행해지는데 앉아서 줄을 당긴다고 하여 앉은 줄다리기라고도 한다. 구진마을 앉은 줄다리기는 이 지역의 독특한 문하이고 줄다리기 자체보다는 이 의식 행위가 가지는 의미를 새기고 일제강점기부터 지금까지 중단된 적 없이 전국에서 유일하게 행해지는 민간의식으로 가치가 높다
918
2021.06.09
463
경상북도 > 포항시
중명리 정사도 유허비
중명리 정사도 유허비는 고려 공민왕 당시 이곳에서 많은 제자를 길렀던 정사도 선생을 기리는 비석이다. 정사도의 본관은 영일 호는 설곡이다. 후손 정성검이 편찬한 문정공설곡정선생유허비중수기에 의하면 정사도는 유허비가 세워진 원촌리(현 중명리)에서 태어났으며 관직에서 물러난 후에는 고향인 이곳에서 생을 마감하였다고 한다.
836
2021.06.09
462
경상북도 > 포항시
대전리 백계당
대전리 백계당은 내연산 산신인 할무당 할매를 모시는 사당이다. 현 위치로부터 위로 약 2km 떨어진 내연산 문수봉과 삼지봉 사이의 할무당재에 있었던 것을 1928년에 이건하였다고 한다. 이건 이전에 3차례(1892년. 1901년. 1914년) 중수한 기록은 있지만 창건 기록은 없다.
899
2021.06.09
461
경상북도 > 포항시
미현리 기계유씨 시조 묘비
미현리 기계유씨 시조 묘비는 신라 아찬 유삼재공의 묘 앞에 있는 2기이다. 묘소 앞에 있는 비는 숙종 16년(1690)에 세워졌고 묘소 우측에 있는 비는 당대 금석학에 조예가 깊은 유척기 선생이 글씨를 쓴 것으로 영조 3년(1727) 건립되었다.
886
2021.06.09
460
경상북도 > 포항시
유계리 상덕사 및 죽림사
유계리 상덕사와 죽림사는 윤백주와 윤빈 선생을 모시는 사당으로 두 분은 부자간이다. 윤백주는 이 마을 출신으로 1720년 무과에 급제하고 영조 때 이인좌의 난을 진압하는데 공을 세워 수충양무원종공신에 녹훈되었다. 또한 윤빈은 청하 서계리에서 출생하여 무과에 오른 후 강원도에서 일어나 혜적이라는 도적을 토벌한 공으로 추충양무원종공신에 녹훈되어 어모장군 선전관에 제수되었다.
887
2021.06.09
459
경상북도 > 포항시
화대리 성강서사
화대리 성강서사는 임진왜란 당시 전공을 세워 경상도 병마절도사를 제수받고 제흥군에 봉해진 해장 고언백(?~1609)을 기리기 위해 건립되었다. 1851년 기계면 성계리에 건립된 후 대원군 때 훼철되어 1965년 현 위치에 복원하였다.
874
2021.06.09
458
경상북도 > 포항시
임중리 김사민 정효각
임중리 김사민 정효각은 장기면 임중리 새장터 마을 앞 도로변에 위치하며 효자 김사민의 효행을 기리기 위해 건립되었다. 정면 1칸 측면 1칸의 북동향 건물로 맞배지붕의 겹처마 건물이다. 정려비와 정효각은 모두 1841년에 건립되었으며 정면에는 정효각 현판이 있고 양쪽에는 방풍판이 있다. 도로변에 위치하였으나 도로가 높아지면서 2006년 중수하였다.
833
2021.06.09
457
경상북도 > 포항시
산서리 최학진 정효각
산서리 최학진 정효각은 조선시대 효자인 초은 최학진(1772~1812)을 기리는 정려비를 수호하기 위해 지은 서향 건물로 정면 1칸 측면 1칸의 맞배지붕 홑처마이다. 사방에는 살창을 하였다.
902
2021.06.09
456
경상북도 > 포항시
중산리 윤락 충효비
윤락 충효비는 조선 중기 충신이며 효자인 윤락(1568~1644)의 행적을 기념하기 위해 그가 살던 송라면 중산리에 세운 비석이다. 비석은 도로가에 2012년 새로 지운 비각 안에 보전되어 있으며 비각은 살창을 두른 작은 맞배집이다.
912
2021.06.09
초기화
날짜순
조회순
정렬
검색
281
282
283
284
285
286
287
288
289
290
Search
검색대상
제목
내용
제목+내용
회원아이디
회원아이디(코)
글쓴이
글쓴이(코)
또는
그리고
검색어
필수
검색
닫기
Category
추천여행코스
전국캠핑장정보
전국명소갤러리
전국둘레길
한국민속신앙사전
전국지역특화거리
전국시티투어정보
전국문화축제
전국도시공원정보
전국농어촌체험휴양마을
전국박물관미술관정보
전국향토문화유적
전국공연행사정보
전국휴양림
전국길관광정보
전국가로수길정보
전국전통시장
전국관광지정보